1. 한국명절 유두
유두란?
유두(流頭)는 음력 6월 15일로, 한국의 전통 세시풍속 중 하나입니다.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맑은 개울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는 풍습입니다.
2. 유두의 유래
유두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유력한 설은, 유두가 신라 때부터 전해 내려온 풍습이라는 것입니다. 고려 명종 때의 학자 김극기의 문집에 따르면, 경주 풍속에는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 버리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설로는, 유두가 중국의 도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도교에서는 6월 15일을 "수륙재(水陸齋)"라는 행사를 여는 날로 여겼습니다. 이 행사는 죽은 이들의 영혼을 위로하고, 그들의 죄를 씻어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두가 도교의 수륙재에서 유래했다는 설은, 유두를 액운을 씻어내는 날로 여긴 점과 일맥상통합니다.
3. 유두의 풍습
유두에는 다음과 같은 풍습이 있습니다.
- 동쪽으로 흐르는 맑은 개울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 요즘에야 사진처럼 감지만.
- 머리를 감고 난 뒤, 빗을 벼랑에 던져버린다.
- 제철 음식을 먹고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 일부지역에서는 백중날과 연계하여 이날 논밭에서 떡과 과일을 준비하여 농신제를 지내기도 한다
유두에 머리를 감는 것은, 여름철 더위와 질병을 막고, 액운을 씻어내는 의미가 있습니다. 빗을 벼랑에 던져버리는 것은, 그 해의 액운을 함께 던져버린다는 의미입니다.
4. 유두의 현대적 의미
조선후기 남원출생 삼의당김씨는 유둣날 일어나는 청춘남녀들의 일상을 재미있게 읊은 한시를 짓기도하였는데 "담락당하립삼의당김씨부부시비" 가 전북 진안 마이산 탑영지에 있다. 한국명절 유두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의 전통 명절로 지켜지고 있습니다. 얼마 전까지도 유두날 물놀이를 하며 부모님들은 아이들 머리를 감겨주고 여름철 더위를 이겨내는 등 건강과 행복을 기원했습니다. 또한 유두는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