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한국명절 칠월칠석이란? 1. 한국명절 칠월칠석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 칠석은 음력 7월 7일을 일컫는 말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세시풍속 중 하나입니다. 칠석은 견우와 직녀의 절절한 사랑 이야기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2. 견우와 직녀 설화 견우와 직녀는 같은 하늘에 살지만 은하수로 인해 헤어져 살 수밖에 없는 처지였습니다. 두 사람은 서로를 그리워하며 슬퍼하다가, 까치와 까마귀가 은하수에 오작교를 놓아줘서 1년에 한 번씩 만나게 되었습니다. 견우와 직녀는 오작교를 건너 만나는 날, 은하수에서는 비가 내린다고 합니다. 이는 두 사람이 헤어져야 한다는 슬픔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3. 한국명절 칠석날 풍습 칠석날에는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를 건너 만나는 모습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하늘을 바라봅니다. 또한, 칠석날에.. 2024. 1. 24.
한국명절 백중이란? 1. 한국명절 백중 백중은 음력 7월 15일로, 초복과 중복 사이에 있는 날입니다. 백중은 본래 불교의 행사였으나, 조선 시대 이후부터는 민간에서도 명절로 지내게 되었습니다. 백중은 한국의 대표적인 명절 중 하나로, 조상을 기리고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2.백중의 유래 백중의 유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불교의 전통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불교에서는 음력 7월 15일을 중원절(中元節)이라고 하여, 죽은 조상의 영혼을 위로하고 기리는 날로 지냈습니다. 이때 망혼제를 지내고, 망자들을 위한 음식과 음료를 준비하였습니다. 둘째, 농경 문화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음력 7월은 보리의 수확이 끝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백중은 보리 추수를 기념하고, 풍년을 기원하는 날로 지내졌습니다. .. 2024. 1. 23.
한국명절 유두란? 1. 한국명절 유두 유두란? 유두(流頭)는 음력 6월 15일로, 한국의 전통 세시풍속 중 하나입니다.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맑은 개울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는 풍습입니다. 2. 유두의 유래 유두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유력한 설은, 유두가 신라 때부터 전해 내려온 풍습이라는 것입니다. 고려 명종 때의 학자 김극기의 문집에 따르면, 경주 풍속에는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 버리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또 다른 설로는, 유두가 중국의 도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도교에서는 6월 15일을 "수륙재(水陸齋)"라는 행사를 여는 날로 여겼습니다. 이 행사는 죽은 이들의 영혼을 위로하고, 그들의 죄를 .. 2024. 1. 23.
한국명절 초파일이란 ? 1. 한국명절 초파일 한국명절 초파일은 음력 4월 8일로,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는 불교의 4대 명절입니다. 2018년부터는 부처님 오신 날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2. 한국명절 초파일 유래 초파일의 유래는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의 탄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석가모니는 인도 카필라국의 왕자로 태어났으며, 출가하여 6년 동안 수행 끝에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삼국 시대부터 초파일을 기념하는 행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라시대에는 초파일을 일 년에 두 번 지냈는데, 한 번은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이고, 다른 한 번은 석가모니의 성도(깨달음)를 기념하는 날이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초파일이 점차 민간에서도 크게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연등놀이, 관등놀이, 방생 등의 행.. 2024. 1. 23.